전체 글 (62)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세 지방세 납세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납세증명서 납세증명서는 발급일 현재 체납한 국세나 지방세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로 계약이나 금융업무를 할 때 체납 사실 없음을 증명하기 위한 문서로 사용됩니다. 보통 정부입찰, 은행대출을 할 때 요구되곤 합니다. 서류 발급시 유효기간이 30일정도 되며, 수수료는 무료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국세와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 방법을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국세와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정부24 사이트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회원가입이나 로그인 없이 비회원으로도 납세증명서 발급 가능하나 발급 마지막단계에서 인증서 로그인 또는 간편인증을 하셔야 발급이 가능합니다. 납세 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우선 정부24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국세 납세증명서 발급 정부24 사이트로 이동하여 메인 화면 자주찾는 서비스에서 납세증.. 원천징수 이행상황신고서 (인터넷 발급) 원천징수 이행상황신고서란?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는 원천징수 대상인 소득을 지급한 원천징수의무자가 작성하는 신고서입니다. 이 보고서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소득을 지급하고 그에 대한 세금을 징수하여 세무서에 납부한 사실을 신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원천징수 대상 소득을 지급받는 인원수, 총지급액, 원천세 내역 등을 포함하여 작성하게 됩니다. 원천징수이행상황 신고서는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홈택스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후, 세금신고 > 원천세 버튼을 선택하여 신고서를 작성하고 제출할 수 있습니다. 관할 세무서를 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해서도 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방문 시에는 본인 또는 대리인이 방문하여 제출가능합니다. 처리 기간은 근무 시간 내 즉시 완료됩니다. 기한 내.. 전입신고 필요서류, 인터넷 신고방법 전입신고 기간 이사를 가게되면 전입신고를 하게됩니다. 많은 분들이 전입신고에도 기간이 있는지 잘 모르고 계시는데요 전입신고는 주거지를 옮긴 후 14일 이내에 완료를 하여야 합니다. 이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5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발생됩니다. 전입신고는 보통 이사한 지역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여 신고를 하게되는데, 인터넷으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전입신고 필요서류 전입신고를 하려면 본인의 신분증과 새 주소의 세대주 도장과 신분증 함께 이사를 하는 가족들의 신분증을 갖고 방문하시면 됩니다. 방문시에는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청소년증, 장애인 등록증, 여권, 유공자증 같이 주민번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을 지참하시어 방문하시면 됩니다. 방문 신고가 어렵다면 온라인으로 신고하시고 가족의 신분증을 지참하..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