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수급기간 (실업급여 지급 금액)

반응형

 

 

목차

    실업급여 수급기간 (실업급여 지급 금액)

     

     

    실업급여 제도를 이해할 때 '얼마나 오래' 그리고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가 가장 현실적인 관심사일 수밖에 없습니다. 본 글에서는 실업급여의 수급 기간과 지급 금액 계산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상세히 정리해드리며, 조건별 차이도 함께 설명드립니다.

     

    또한 글 하단에는 실업급여 조건과 신청 방법을 별도로 정리한 글도 함께 안내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꼭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수급기간은 아래 두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1. 고용보험 가입 기간
    2. 실직 당시의 연령

    예를 들어, 만 50세 이상이고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라면 최대 270일까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30대 근로자가 2년간 가입했다면 일반적으로 120일~150일 수준에서 수급이 이루어집니다.

     

    연령 가입기간 수급기간
    만 30세, 2년 일반 약 120~150일
    만 50세, 10년 장기 최대 270일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길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수급기간이 늘어나는 구조이므로, 자신의 고용보험 가입 내역을 먼저 확인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업급여는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실업급여 금액은 최근 3개월간 평균 임금의 60%를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하지만 정부 정책상 상한액과 하한액이 설정되어 있어, 실제 수령 금액은 이 기준에 맞춰 조정됩니다. 👉 실업급여 자 계산기 바로가기

     

    2025년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한액: 1일 최대 80,000원
    • 하한액: 1일 최저임금의 80% 수준

    예를 들어 평균 임금이 1일 120,000원인 근로자의 경우, 60%는 72,000원이므로 상한 기준 미만이므로 해당 금액 그대로 수급됩니다. 반면 평균 임금이 높아 1일 환산 150,000원이라면, 60%는 90,000원이지만 상한선인 80,000원으로 제한됩니다.

     

     

     

    실업급여 계산기, 꼭 활용하세요

     

    실업급여 수급 금액은 개인별로 크게 차이날 수 있으므로,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의 자동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최근 급여, 근속 연수, 연령 등을 입력하면 예상 수급액과 수급 기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 더 알아보기

    👉 실업급여 조건 완벽 정리 글 보기

    👉 실업급여 신청방법과 절차, 필요서류 완벽 정리 글 보기

    수급 금액과 기간을 확인하셨다면, 이제 실업급여를 언제,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